Klaytnscope
Search
⌃K
📣

What's New?

2022.12.08 업데이트

안녕하세요. 오지스 클레이튼스코프팀입니다. 클레이튼스코프는 항상 투명한 블록체인 정보를 제공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지난 3월 18일 공유드렸던 업데이트 로드맵(링크)에 따른 Account 관련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.
지난 업데이트(링크)의 컨트랙트 LifeCycle, Delegate 및 Custom ABI 기능 제공에 이어,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해킹 피해 또는 러그풀, 자산의 이동 내역들을 더 쉽게 찾아 보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또한 클레이튼스코프 Docs를 공식적으로 오픈하여,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 및 업데이트 기록 등을 앞으로 지속적으로 보강해 나갈 예정입니다.
  1. 1.
    Account 정보 표시 고도화
    • 현재 Account Key Type 과 Next nonce 가 표기됩니다. 주소의 Nonce 값도 표기해주고, 클레이튼의 고유한 기능인 Account Key 에 대한 표기가 추가됩니다. Multisig, RoleBased 등 클레이튼만의 주소 체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Account Update 내역을 제공합니다.
      주소의 Account Key 가 변경된 내역들을 제공하여 언제 어떻게 키가 변경되어왔는지 정리하여 제공합니다.
    • Tx Account Update 해석 표기
      알아보기 힘든 Account Update의 내용을 해석하여 제공합니다. 예를 들면 해킹 피해가 발생하여 Update된 경우 새 PublicKey가 어떤 Legacy 주소의 PublicKey였는지를 제공하여 연관된 주소를 더 추적할 수 있습니다.
      해석하여 표기해드리는 Legacy 주소는 지정된 PublicKey로부터 계산된 결과일 뿐이며 해당 Legacy 주소의 Account Key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      이더리움의 해당 주소와는 같은 Private Key 를 공유하는 연관이 있습니다.
  2. 2.
    Token 페이지 고도화
    Token / NFT 페이지 내에서 주소 별로 검색을 제공하고 조회 옵션을 추가로 제공합니다. 기존에 Account 의 Token 탭에서 컬럼을 통해 불완전하게 검색하면서 보시던 특정 토큰에 대한 기록을 좀 더 편리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. 초기 토큰 분배, 특정 토큰의 입금/출금 분리 조회를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.
  3. 3.
    조회 옵션 추가
    Transaction / Internal Transaction / Token Transfer / NFT Transfer / Token Page 에 아래와 같은 조회 옵션이 추가됩니다. 이러한 조회 옵션을 통해 해킹 피해 또는 러그풀, 자산의 이동 내역들을 더 쉽게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.
    • From 주소인 경우만 조회 / To 주소인 경우만 조회
    • 최신순 / 오래된순
    • Tx Type 별 필터(일부)
  4. 4.
    Internal Tx Trace 상세 정보 제공 더욱 자세한 Internal Transaction 디버그를 위해 Trace 내용을 상세하게 제공합니다. Transaction 페이지의 Internal Transaction 탭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, 클레이튼 개발자 및 분석가들에게 더욱 투명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.
  5. 5.
    UX Tx Type 이 필터에서 지원되면서 주소 및 Method 표기 너비 조정이 있었습니다. 커뮤니티 건의 사항을 반영하여, 한 탭 내에서 방문한 주소 목록을 저장하고 보여주는 기능이 실험적으로 추가되었습니다. 브라우저 뒤로가기와는 달리 주소/페이지 단위의 히스토리를 보여주며 최대 15개까지만 저장됩니다. 일부 모바일 사용성이 개선됐습니다.
감사합니다.
Last modified 3mo ago